본문 바로가기
경제

전월세 계약, 세금 폭탄 피하는 법!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포인트

by money freedom 2025. 3.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oofbird입니다. 전월세 계약, 많이들 하시죠? 그래서 더욱 세금까지 꼼꼼히 체크해야합니다.

 전월세 계약을 할때 많은 사람이 보증금과 월세만 신경쓰지만, 세금 문제를 간과하면 예상치 못한 금전적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임대소득세는 얼마나 나올까?

  ◈ 전세보증금에도 세금이 부과될까?

  ◈ 세금 부담을 줄이는 방법은?

 

 오늘은 전월세 계약시 꼭 알아야 할 세금 문제를 상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전월세 계약과 관련된 주요 세금

 전월세 계약에서 세금 문제는 임대인(집주인)과 임차인(세입자) 뫄두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 임대인이 내야 할 세금

    ● 임대 소득세 : 월세를 받는 경우 발생

    ● 종합부동산세 : 다주택자의 경우 해당

    ● 양도소득세 : 보유 주태글 매각할 때 부과

 

  ◈ 임차인이 신경 써야 할 세금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공제 : 월세 세액공제 혜택

    ● 전세보증금 반환 관련 세금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세금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임대소득세 ㅡ 월세 받으면 반드시 신고 해야 합니다.

  ◈ 과세대상 :

    ● 연 2,000만원 이하 월세 수익 : 분리과세(기본공제 400만원 적용)

    ● 연 2,000만원 초과 월세 수익 : 종합과세

 

  ◈ 세율(분리과세 적용 시):

    ● 임대소득(월세 - 필요경비) × 14%

    ● 지방세 포함 시 총 15.4%

 

☞절세 TIP

    ● 공제 가능한 경비(관리비, 수선비 등) 적극 활용

    ● 부부 공동명의로 소득을 분산하면 세금 부담 줄일 수 있음

 

3. 전세보증금에도 세금이 부과될까?(간주임대료 과세)

 전세보증금 자체에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지만, 일부 경우 세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간주임대료 과세 대상 :

    ● 보유 주택이 2채 이상인 경우

    ● 전세보증금 총액이 3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 세금 계산 공식 : 

  간주임대료 = (전세보증금 - 3억원) × 정기예금이자율 × 60%

 

  ☞ 절세 TIP 

    ● 1주택자는 해당 없음!

    ●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간주임대료 과세 제외 가능

 

 

 

 

 

4. 임차인 세액공제 ㅡ 월세도 세금 혜택 받는다!

 임차인은 월세를 납부하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공제 대상 :

    ● 무주택 세대주

    ● 총 급여 7,000만원 이하(근로소득자)

    ● 종합소득 6,000만원 이하(사업자)

 

  ◈ 공제율 한도 :

    ● 총 급여 5,500만원 이하 : 월세액의 12%

    ● 총 급여 5,500만원 초과 ~ 7,000만원 이하 : 월세액의 10%

    연 최대 750만원까지 공제 가능

 

  ☞ 세액공제 받는 법:

    ● 계약서에 임차인 명의가 있어야 함

    ● 월세를 계좌이체로 지급해야 증빙 가능

 

5. 전월세 계약시 세금 관련 주의사항

  ◈ 임대인은 반드시 임대소득 신고 필수!

  ◈ 2주택 이상 보유시 전세보증금도 과세될 수 있음

  ◈ 임차인은 월세 세액공제를 놓치지 말 것

  ◈ 모든거래는 계좌이체로 남겨야 증빙 가능

 

맺음말 ㅡ 세금까지 고려해야 진짜 좋은 계약

 

  ◈ 임대인은 임대소득세와 간주임대료 주의!

  ◈ 임차인은 월세 세액공제 챙기기!

  ◈ 전월세 계약 시 세금 문제를 미리 체크하여 추가 부담을 줄이자!

  

  부동산 계약에서 세금은 절대 피할 수 없습니다. 계약전 꼼꼼히 확인하고, 현명한 절세 전략을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오늘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