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oofbird입니다. 전월세 계약, 많이들 하시죠? 그래서 더욱 세금까지 꼼꼼히 체크해야합니다.
전월세 계약을 할때 많은 사람이 보증금과 월세만 신경쓰지만, 세금 문제를 간과하면 예상치 못한 금전적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임대소득세는 얼마나 나올까?
◈ 전세보증금에도 세금이 부과될까?
◈ 세금 부담을 줄이는 방법은?
오늘은 전월세 계약시 꼭 알아야 할 세금 문제를 상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전월세 계약과 관련된 주요 세금
전월세 계약에서 세금 문제는 임대인(집주인)과 임차인(세입자) 뫄두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 임대인이 내야 할 세금
● 임대 소득세 : 월세를 받는 경우 발생
● 종합부동산세 : 다주택자의 경우 해당
● 양도소득세 : 보유 주태글 매각할 때 부과
◈ 임차인이 신경 써야 할 세금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공제 : 월세 세액공제 혜택
● 전세보증금 반환 관련 세금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세금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임대소득세 ㅡ 월세 받으면 반드시 신고 해야 합니다.
◈ 과세대상 :
● 연 2,000만원 이하 월세 수익 : 분리과세(기본공제 400만원 적용)
● 연 2,000만원 초과 월세 수익 : 종합과세
◈ 세율(분리과세 적용 시):
● 임대소득(월세 - 필요경비) × 14%
● 지방세 포함 시 총 15.4%
☞절세 TIP
● 공제 가능한 경비(관리비, 수선비 등) 적극 활용
● 부부 공동명의로 소득을 분산하면 세금 부담 줄일 수 있음
3. 전세보증금에도 세금이 부과될까?(간주임대료 과세)
전세보증금 자체에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지만, 일부 경우 세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간주임대료 과세 대상 :
● 보유 주택이 2채 이상인 경우
● 전세보증금 총액이 3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 세금 계산 공식 :
간주임대료 = (전세보증금 - 3억원) × 정기예금이자율 × 60%
☞ 절세 TIP
● 1주택자는 해당 없음!
●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간주임대료 과세 제외 가능
4. 임차인 세액공제 ㅡ 월세도 세금 혜택 받는다!
임차인은 월세를 납부하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공제 대상 :
● 무주택 세대주
● 총 급여 7,000만원 이하(근로소득자)
● 종합소득 6,000만원 이하(사업자)
◈ 공제율 한도 :
● 총 급여 5,500만원 이하 : 월세액의 12%
● 총 급여 5,500만원 초과 ~ 7,000만원 이하 : 월세액의 10%
● 연 최대 750만원까지 공제 가능
☞ 세액공제 받는 법:
● 계약서에 임차인 명의가 있어야 함
● 월세를 계좌이체로 지급해야 증빙 가능
5. 전월세 계약시 세금 관련 주의사항
◈ 임대인은 반드시 임대소득 신고 필수!
◈ 2주택 이상 보유시 전세보증금도 과세될 수 있음
◈ 임차인은 월세 세액공제를 놓치지 말 것
◈ 모든거래는 계좌이체로 남겨야 증빙 가능
맺음말 ㅡ 세금까지 고려해야 진짜 좋은 계약
◈ 임대인은 임대소득세와 간주임대료 주의!
◈ 임차인은 월세 세액공제 챙기기!
◈ 전월세 계약 시 세금 문제를 미리 체크하여 추가 부담을 줄이자!
부동산 계약에서 세금은 절대 피할 수 없습니다. 계약전 꼼꼼히 확인하고, 현명한 절세 전략을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오늘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 공동명의로 세금 폭탄 피하기! 종부세 · 양도세 · 증여세 완벽 비교 분석 (0) | 2025.03.29 |
---|---|
다주택자 양도세 절세 비법! 최신 개정 내용 완벽 분석 (0) | 2025.03.28 |
종합 부동산세 완벽 해부! 기준부터 계산법, 절세 전략가지 총정리 (0) | 2025.03.28 |
경제지표 해독법! 실업률 · 물가지수 · GDP만 알면 투자 타이밍이 보인다! (0) | 2025.03.28 |
취득세 아끼는 법! 1주택자 vs 다주택자, 절세 전략 완벽 분석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