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부동산 세금의 종류 정리 ㅡ 양도세, 취득세, 종부세, 재산세, 증여세

by money freedom 2025. 3.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oofbird입니다. 부동산 세법이 대대적으로 개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부동산 거래와 보유 시 적용되는 세금이 변화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과 관련된 주요 세금인 취득세, 보유세(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 양도 소득세, 증여세, 그리고 상속세의 개념과 2025년 개정된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취득세

 부동산을 취득할 때 부과되는 세금으로, 부동산 가액에 일정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됩니다. 

 

  ◈ 2025년 개정 내용 :

    ● 다주택자 및 법인 세율 인상 : 2주택자의 취득세율은 8%, 3주택자 이상 및 법인은 12%로 인상되었습니다.

 

  ◈절세 팁:

    ● 1주택 유지 : 추가 주택 취득시 세율이 높아지므로, 주택 수를 최소화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가족 명의 활용 : 가족 구성원 명의로 주택을 분산하여 각자의 주택수를 줄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2. 보유세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을때 부과되는 세금으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로 구성됩니다. 

 

  1)재산세

  부동산의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 2025년 개정 내용 :

    ● 공정시장가액비율 조정 : 과세표준 산정시 적용되는 공정 시장가액비율이 조정될 예정입니다. 

 

  ◈ 절세 팁 :

    ● 공시가격 확인 : 매년 공시되는 부동산 가격을 확인하고, 이의가 있을 경우 적절한 절차를 통해 조정 신청을 고려하세요.

 

   2) 종합 부동산세

 일정 금액 이상의 부동산을 보유한 경우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2025년 개정 내용 :

    ● 과세 기준 상향 : 1세대 1주택자에 대한 과세 기준이 일부 상향 될 예정입니다. 

    ● 세율 완화 논의 :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세율 완화가 검토되고 있습니다.

   

  ◈ 절세 팁:

    ● 임대사업자 등록 :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족 간 증여 : 가족에게 일부 지분을 증여하여 보유세 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3. 양도소득세

 부동산을 매도할 때 발생하는 차익에 대해 부돠되는 세금입니다.

 

  ◈ 2025년 개정 내용 :

    ●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강화: 보유 기간 3년 이상, 거주 기간 2년 이상으로 요건이 강화되었습니다.

    ●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완화 :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가 완화되었습니다.

 

 

  ◈ 절세 팁 :

    ● 보유 및 거주 요건 충족 :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새서는 강회된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매도 시기 조정 : 세법 개정사항을 고려하여 매도 시기를 전략적으로 산택하세요.

 

 

4. 증여세

 부동산을 타인에게 무상으로 이전 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2025년 개정 내용 :

    ● 상속 · 증여세 공제 확대 : 공제 한도가 확대되어 증여시 세금 부담이 줄어들었습니다. 

   

  ◈ 절세 팁:

    ● 공제 한도활용 : 확대된 공제 한도를 최대한 활용하여 증여 계획을 수립하세요.

    ● 증여 시기 분산 : 증여 시기를 분산하여 세금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5. 상속세

 부동산을 상속받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 2025년 개정 내용 :

    ● 상속 공제 확대 : 상속 공제 한도가 확대되어 상속세 부담이 완화되었습니다.

    

  ◈ 절세 팁 :

    ● 사전 증여 고려 : 생전에 일부 재산을 증여하여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잔문가 상담 : 상속세는 복잡하므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여 최적의 절세 전략을 수립하세요.

   

 

맺음말

 

2025년 부동산 세2법 개정으로 인해 부동산 거래와 보유 시 세금 부담이 변화하였습니다. 각 세금의 개념과 개정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절세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법은 복잡하고 자주 변경되므로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전문가와 상담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반응형